본문 바로가기
이슈

유승준 한국 입국이 가능해질까? 법원 비자발급 판결

by 풋풋한꿈새군 2023. 7. 13.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가수 유승준 씨의 한국 입국 문제에 관해 자세히 알아보려 합니다. 21년 동안 한국 입국이 금지된 유승준 씨가 법원 판결에 따라 입국길이 터진 것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그의 사건을 둘러싼 복잡한 상황과 그 배경, 그리고 그가 입국금지를 뒤집는 데에 이르게 된 과정을 함께 살펴보며, 이에 대한 사회적인 시각을 이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유승준의 병역 기피와 한국 입국 금지

2002년에 벌어진 유승준 씨의 병역 기피 의혹은 그의 가수 생활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당시 유승준 씨는 공익근무요원 소집통지를 받은 상태에서 국외 공연 등을 이유로 출국한 뒤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습니다. 이에 대한 병역 기피 의혹이 일자, 당시 법무부 장관은 병무청장의 요청을 받아 유승준 씨의 입국을 금지했습니다. 그로부터 21년이 흐른 지금까지 유승준 씨는 두 차례 입국 비자 발급을 신청했으나 모두 거부당했습니다.

 

2. 서울고등법원의 판결

그러나 최근 이러한 상황이 변하게 되었습니다. 서울고등법원 행정 9-3부는 유승준 씨가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를 상대로 낸 여권·사증 발급 거부처분 취소소송에서 원고승소 판결을 내렸습니다. 재판부는 2015년 8월 비자 발급을 신청한 유승준 씨에게는 국적을 포기한 병역 기피자일지라 하더라도 38살 이후에는 비자를 발급하도록 정한 당시의 재외동포법을 적용해야 한다고 판단하였습니다.

 

3. 재외동포법의 역할

병역을 기피한 외국국적동포에 대해 현행 재외동포법은 비자 발급을 거부할 수 있고, "법무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41세가 되는 해부터 체류자격을 부여할 수 있다"라고 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유승준 씨가 처음 비자를 신청할 당시의 재외동포법은 병역을 기피한 외국국적동포여도 38살이 넘으면 비자를 발급하도록 정하고 있었던 점이 법원의 판단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4. 과거 소송과 대법원의 판결

사실 유승준 씨가 한국 입국 비자를 발급해 달라며 낸 소송에서 승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2002년 입국금지 이후 한국땅을 밟지 못하던 유승준 씨는 만 38살로 병역 의무가 해제된 2015년 8월 재외동포 비자(F-4) 발급을 신청했습니다. 주로스앤젤레스총영사관이 이를 거부하자 유승준 씨는 첫 번째 소송을 냈는데, 1·2심에서는 패소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2019년 "과거 법무부의 입국 금지 결정이 있었다는 이유만으로 엘에이총영사관이 재량권을 행사하지 않고 비자발급을 거부한 것은 위법하다"며 사건을 파기했고, 파기환송심을 거쳐 2020년 3월 대법원에서 유승준 씨의 승소 판결이 확정됐습니다.

 

5. 재차 거부된 비자 발급과 이번 판결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승준 씨가 다시 법원을 찾은 것은 2020년 7월 두 번째 비자 발급 신청이 재차 거부됐기 때문입니다. 당시 총영사관은 "대법원 파기판결 이후에도 유승준이 '병역을 이행하거나 이행 의사를 표시한 사실이 없다'며 재차 비자 발급을 거부했습니다. 이에 유승준 씨는 다시 한번 법원에 소송을 제기하였고, 이번에는 원고승소의 판결이 내려졌습니다.

 

6. 사회적 시각

유승준 씨의 한국 입국이 확정되자, 여러 가지 반응이 나왔습니다. 어떤 이들은 그의 병역 기피 논란에 대한 비판을 표명했습니다. 병역의무를 면한 이후로도 별다른 사과나 개선의 노력을 보이지 않았다는 이유에서 입니다. 그러나 반대로 다른 이들은 오랜 시간 동안 그가 겪은 입국금지는 충분한 처벌이었으며, 그에게 한국에 다시 돌아올 기회를 주는 것이 공정하다는 견해를 나타내었습니다.

 

결론

유승준 씨의 입국금지 논란은 복잡한 법적 문제뿐만 아니라, 병역의무에 대한 국민적 인식, 그리고 공정성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불러일으키는 사건입니다. 그로 인해 우리 사회는 병역의 의미와 가치에 대해 다시 한번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그의 이야기는 그 자체로 법과 사회, 그리고 가치에 대한 중요한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입니다. 앞으로 그의 한국 입국과 그에 따른 변화를 주목하며, 이러한 논의가 어떠한 결과를 가져올지 기대해 봅니다.

 

반응형

댓글